대상자
청각장애
청력 손실 정도에 따라 경증과 중증으로 나눌 수 있다.
정체성
농인
농인과 난청인은 일반적으로 청력 손실 정도가 아닌 정체성으로 구분하는 개념이다. 농인은 제 1언어로 수어를 사용하며, 농인 문화에 대한 강한 정체성을 가지고 있는 이들을 말한다.
난청인
난청인은 제 1언어로 음성 언어(구어)를 사용한다. 이들은 주로 보청기나 인공와우 기기와 같이 보장구를 사용하여 의사소통 능력을 개선하기 위해 노력한다. 조기 진단 및 재활로 인해 난청인이 점점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.
사용언어
구어
음성에 의해 표현되는 음성언어를 의미한다.
수어
소리 대신 손짓을 이용하여 뜻을 전달하는 언어를 의미한다.
착용기기(보장구)
보청기
귀 안, 귀 주위에 별도의 수술 없이 착용할 수 있는 기기로 소리를 증폭해주어 더 크고 쉽게 들을 수 있도록 해준다. 청력 손상이 있지만, 잔존 청력이 남아있는 경우 주로 사용하기에 난청이 심한 사람에게는 적합하지 않다.
인공와우
보청기의 효과를 볼 수 없을 정도로 청력 손실의 정도가 심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는 것으로, 전기신호를 청신경에 전달해주는 와우 기기를 이식하여 소리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. 이식 수술 이후에는 인공와우 기기를 착용하며, 청력 회복을 위해 재활 및 매핑 과정이 필수적으로 이루어진다.
재학학급 및 교육
완전통합 (일반학교 일반학급)
종일 일반학급에서 비장애 학생들과 함께 생활하는 것을 의미한다. 특수교사에게 수업을 받지 않기 때문에 특수교사와의 소통이 원활하지 않은 것이 특징이다.
부분통합 (일반학교 특수학급)
국어, 수학 등 일부 과목은 특수학급에서 수업을 듣고, 일부 과목은 일반학급에서 수업을 듣는 교육 형태를 의미한다.
주요 개념